경쟁작
Nominated Work
고영찬 Youngchan Ko
배한솔 Hansol Bae
최재훈 Jaehoon Choi
고영찬 작가는 프랑스 니스 국립고등미술학교에서 순수미술학사(2016)와 석사과정(2018)을 이수했으며, 현재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비디오 매체를 중심으로 취재, 조사 기반의 작업을 전개하고 있다. 장소의 기억, 개인의 기억, 그곳과 관련된 사건, 사고, 풍경, 장소성 같은 요소들이 작업의 축을 이룬다. 《모비멘타페스티벌》(니스, 2017), 《불쾌한 골짜기》(마린갤러리, 니스, 2018), 《백야축제》(레그헝부아장, 파리, 2019)에 참여했으며, 첫 단편 《Pixsel》로 2019년 크루스 문화재단 단편영화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Youngchan Ko completed the bachelor’s degree course(2016) and the master’s degree(2018) in fine art at 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in Nice, France, and currently working based in Paris. He carries out his works based on report and research through the medium of video. His work are mainly composed of factors like memories of place, memories of individuals, incidents or accidents related to these places, land scape or placeness. He has joined a number of exhibitions including 《Movimenta Feistval》(Nice, 2017), 《An Unpleasnt Valley》(Galerie de la Marine, Nice, 2018) and 《White Night Festival》(Paris, 2019). and his firt short film 《Pixsel》 won the award of excellence at the short film copetition hosted by Crus culture foundation,
고영찬, <태양 없이>, 단채널 영상, 10분 36초, 2018
Youngchan Ko, <Sim Solel>, Single channel video, 10min 36sec, 2018
<태양 없이>는 폐광 이후 여전히 광산마을을 터전 삼아 살아가는 사람들의 초상이다. 살시니유 금광산은 프랑스 남부 까르까손 인근에 위치한, 서유럽에서 가장 중요했던 그리고 프랑스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금광산이다. 2004년 수익성을 문제로 폐광되었고, 이는 지리적으로나 인구 통계상으로도 이 지역에 큰 구멍을 남겼다. 모든 갤러리의 입구는 콘크리트로 막혔고 내부로의 진입이 금지되었다. 현재 광산 지면에는 태양열 발전판들이 들어서기 시작하면서 새로운 시대의 풍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 작업은 서로 다른 두 세대(폐광 이전 광산을 경험한 세대와 폐광 이후 이 마을에서 태어나 자라고 있는 세대)의 병치와 가상적인 상황설정(태양이 사라진 마을들)을 통해 빌라흐도넬 마을 사람들을 이야기한다. 동시에 ‘빛을 기억하는 장치’라는 카메라의 원초적인 기능과 원리를 상상 속 광산과 암실의 어둠을 통해 관객들에게 감각하게 한다.
<Sim Sole> is a portrait of people who still live in the mining town even after the mine was abandoned. Located near Carcassonne in Southern part of France, Salsigne gold mine was the one that has remained until the very end with the most importance in Western Europe. It was abandoned due to the issue of profitability in 2004, resulting in a huge blank not only geographically but also demographically. All galleries’ entrances were blocked with concrete, unable to enter inside. Currently, solar power panels start to be set up alongside the surface of the mine, creating landscape of a new era. This work shows the story of residents of Vilardonnel town by juxtaposing two different generations(the previous one who experienced the mine before it was closed and the new one who were born at the town after mine was closed) as well as by setting the imaginary situation(villages where the sun disappears). At the same time this work let the audience catch the basic function and principle of camera – the device which remember the lights, by means of the imagined mine and the darkness of the dark room.
배한솔은 동시대 한국에서 필연적으로 마주하게 되는 여러 사건에 주목해 작업을 만들어왔다. 사건을 둘러싼 정보와 이미지를 수집하고, 그것을 기존에 소비되는 방식에서 벗어나도록 만드는 일에 관심이 있다. 2019년 ‘아카이브 봄’에서 개인전 《불안정 대기》를 열었다.
Hansol Bae has created worked by paying attention to a number of inicidents that are inevitably encountered in contemporary Korea. He is interested in collecting information and images around incidents and making it deviate from the way it has been consumed. He hosts his solo exhibition 《Unstable Atmosphere》 at ‘Archive Bomm’ in 2019.
배한솔,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 단채널 영상, 11분 27초, 2019
Hansol Bae, <Closer than They Appear>, Single channel video, 11min 27sec, 2019
<보이는 것보다 가까이>는 지하철 1호선과 지하철로 대표되는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 그리고 이 거대한 흐름을 타고 이루어진 반공의 역사를 다룬다. 영상은 아직도 북한이 대남 땅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믿으며 집요하게 탐사를 이어가는 이들과 그들을 태운 1호선, 열차가 통과하는 길고 긴 터널의 이미지들 중첩하며 여전히 지속되는 적대의 역사를 조명한다.
<Closer than They Appear> deals with South Korea’s economic growth represented by subway and its line no.1, as well as the history of anticommunism that have been formed through this hugh flow. The video sheds light on the history of hostility that still persists, overlapping images of those who believe North Korea is still working on tunneling against South Korea, the subway line No. 1 which transports them, and the long tunnel which the subway pass through.
최재훈은 경원대학교(현 가천대) 회화 학사와 석사를 졸업하였다. 《the world》(stone&water, 2004), 《나에 관하여》(복정동 미임대상가, 2005), 《불확실한 풍경들》(2019)의 3회의 개인전과 《17X17》(토탈 미술관), 《사계청소》(일민 미술관), 《UN VILLAGE 35호》(한남동 유엔빌리지 35호 주택),《INTERFACE _Psychodrama 2》(경기문화재단), 《포트폴리오》(서울시립미술관), 《유쾌한 공작소 part3.빛의 공작소》(서울시립미술관) 등 다수의 그룹전에 참여하였다.
Jaehoon Choi graduated from Kyungwon University (currently Gachon University) with a bachelor's degree and master's degree. There were three individual exhibitions of "the world/about me/uncertain landscapes.”. There were a number of group exhibitions including '17X17' (total museum), ‘clear field of fire' (ilmin museum), 'UN VILLAGE 35' (U.N. Village No. 35 in Hannam-dong), 'INTERFACE -Psychodrama 2'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Fortfolio' (Seoul Museum of Art), and 'Joyful Studio: Workshop of Light (Seoul Museum).
최재훈, <상처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 H264 / 4K , 30분, 2020
Jaehoon Choi, <The Unbearable Lightness Of wound>, H264 / 4K, 30min, 2020
‘상처의 참을 수 없는 가벼움’은 ‘Body island(인체섬)’(좌)와 ‘Trophy of war(전쟁트로피)’(우)의 두 영상이 함께 상영되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정전 국가 안에서 살고 있는 개인의 무감각한 두려움과 전쟁의 실체적 공포의 충돌을 이야기한다. ‘인체섬’은 전쟁의 인식적 관념과 역사적 사실을 끊임없이 마주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도망치고 외면하는 개인의 감정을 이야기한다. ‘전쟁트로피’는 심해에서 발견한 이상한 물체가 전쟁을 기념하는 트로피라는 설정으로 이 오브제를 관찰하며 멈추어진 채 끝나지 않은 전쟁에 대한 공포와 사회 속에서 여전히 기념비적인 이미지로서 존재하는 전쟁의 역사를 관찰하며 우리에게 상황과 역사로서 여전히 존재하는 전쟁의 모습을 드러내고자 한다. ‘인체섬’에서 들려오는 총성과 ‘전쟁트로피’에서 수중의 관찰자가 부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운드가 각각 들리게 된다.
'The Unbearable Lightness Of wound' is a artwork in which two channel video of 'body island' and 'trophy of war' are screened together. This artwork tells about the clash between the insensitive fear of individuals living in the truce nation and the actual fear of war.
The first video,'Body Island', talks about the feelings of an individual who constantly encounters the epistemological ideas and historical facts of war, but at the same time runs away and turns away.
The second video, ‘Trophy of war’, is a video that observes the war trophy found in the deep sea. By observing this object, the fear of the unfinished war and the history of war that still exists as a monumental image in society, this video-work try to reveal to us the state of war that still exists as a situation and history.
'The Unbearable Lightness Of wound' video artwork resonates with gunshots heard from the 'body island' and the sound that occurs while the underwater observer floats in the 'war tr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