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올해 주제

This year's Topic

<인체측정학 : 반복과 실패를 위한>

제 13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이하 ‘BIVAF’)은 작년에 이어 국내외 공모를 통해 선정된 경쟁작, 선정작 부문과 당해 주제를 정하여 초청한 작품들로 이루어진 초청작 부문으로 구성하였다. 작년과 변화된 점이 있다면 공모부문에서 영상예술의 다양한 경향을 살필 수 있도록 주제에 제한을 두지 않았고, 초청작 부문은 지역에서 활동하는 영상이론가와 협업함으로써 영상매체적인 관점과 주제의 균형을 잃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제 13회 BIVAF 주제는 제 12회 공모된 작품들의 경향을 살피는 데에서 출발했다. 제 12회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에 공모된 작품들을 보았을 때 영상예술의 매체 자체에 대한 연구나 미학을 중점으로 하는 작품보다 퍼포먼스나 예술가의 신체, 행위를 비디오 작업의 주요한 소재로 삼고 있는 작품들이 많았고, 이러한 경향에 대해 다양한 관점으로 질문들을 펼칠 수 있는 주제가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그런 점에서 제 13회 BIVAF는 신체, 행위들을 영상매체를 통해 어떻게 가시화하고 맥락화하는지에 대해 풀어보고자 했다.

초청한 작품들은 작가들 저마다의 방식으로 신체, 행위, 수행적 태도들을 영상매체로 드러내는데, 영상 속 신체들은 지극히 일상적이고 평범한 행위들을 ‘이상한’ 방식으로 반복하거나, ‘이상한’ 행위들을 집요하게 반복한다. 이는 일상의 모든 행위, 움직임들이 실시간으로 노출되며 일상 어디에서든 감시되고 통제될 수 있는 ‘신체’가 아니다.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진 시공간 속에서 포착되는 신체, 행위들은 작가가 설정한 재생시간과 속도, 분절과 접합, 시점을 통해 더 이상 일상적이지 않게 된다.

어쩌면 무모하고도 허무해 보이는 이들의 행위들은 우리 사회의 보이지 않는 모순이나 실체들에 대한 사유로까지 확장시키며, 나아가 안전하고 규범적인 질서에 무감각한 신체가 되기보다 그것에 균열을 내거나 틈을 만들어 해방할 수 있는 신체에 대해 상상할 수 있도록 한다. 그렇기 때문에 영상 속에서 보여지는 신체의 행위는 계속해서 반복되지만 결국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 어쩌면 더 잘 실패할 수 있도록 반복해서 그러한 행위들을 시도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김효영, 서평주

(부산국제비디오아트페스티발 기획·운영위원)

<Anthropometry : For repetition and failure>

Following last year, the 13th Busan International Video Art Festival(BIVAF) organizes 3 sections: the Competition Section and the Selection Section, both of which consist of works selected via registration from Korea as well as all over the world, and the Invitation Section composed of invited works in a given subject this year. What is different from the last year’s festival is that, in the Competition and Selection Section, BIVAF has removed any limitations in the subject in order to look into a wide range of current trends in the video-art field. Also the fact that BIVAF has paid huge attention so as not to lose the balance between the subjects and the perspective as a visual media by collaborating with local video-theory specialists is also remarkable compared to last year.

 

Setting the subject of the 13th BIVAF started from looking through the trend of the works submitted at the 12th BIVAF. Looking into the works submitted last year, there are much more works mainly dealing with performance, bodies and behaviors of the artists, rather than ones focusing on the studies or aesthetics about the media of video art in itself. With this result, BIVAF has garnered the opinion that it should set the opinion to open the platform for questions with various points of view about this trend. In this sense, The 13th BIVAF would like to find out how the bodies and the behaviors become visible and contextualized through visual media.  

 

The invited works show the images of bodies, behaviors and performative attitude as each artist’s own method, where the bodies in the works repeat an absolutely ordinary and usual behavior in “unusual” way, or repeat an “unusual” behavior in itself. These are not the bodies which can be observed and controlled everywhere in daily lives, while exposing their ordinary behaviors in real time. These bodies and their behaviors captured in the extended time and space by adding the artist’s imagination is not ordinary ones any more in terms of duration, speed, segmentation, connection and point of view established by the artist.

 

Seemingly reckless or vain, these bodies expand up to the consideration about the invisible contradiction or truth in our society, making it possible to imagine the bodies which can extricate itself by making cracks or gaps at the safe and normative orders, rather than the ones which are insensitive to those orders. So the bodies’ behaviors shown in the videos are constantly repeated, only to face the failure. It might be that they are trying to repeat those behaviors in order to end in failures much better.

 

Hyoyoung Kim, Pyeongjoo Seo

(Planning and operating committee, BIVAF)

bottom of page